[13호]2012 국제포장기자재전/국제물류기기전
국제포장기자재전 / 국제물류기기전
글 | 유명한 n4812@ntrex.co.kr
봄이 찾아왔다는 설렘도 잠시, 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던 지난 5월 22일 일산 킨텍스에서 국제포장기자재 전시회가 열렸다. 1992년 1회를 시작으로 어느덧 17회를 맞이하는 국제포장기자재전과 국제물류기기전 등 ‘cross over’의 성격을 띄고 KOREA PACK이란 주제로 23개국/650개사 2,000개 부스 규모로 6개의 전시회를 한 곳에서 나흘간 진행되었다.
최근 다양한 산업군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다보니 이런 ‘cross over’를 통해 비슷한 테마를 같은시기에 전시함로서 바이어들은 한번의 참관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볼 수 있고, 이에 따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효과를 누리고 있다.
포장기자재전과 같이 진행된 전시회는 제4회 국제화학장치산업전, 제2회 국제물류기기전, 제6회 국제실험분석기기전, 제7회 제약화장품생산기술전, 제2회 국제의약품전시회 등이 있었다. 입구부터 규모를 실감할 수 있었지만, 놀라움은 잠시 접어두고 전시회를 살펴 보도록 하자.
![]() |
![]() |
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장 입구와 매표소. 큰 큐모를 반영하듯 입구에서부터 늘어선 줄은 콘서트장을 방불케 했으며, 여러 산업군들이 포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보니 많은 관람객들이 참관을 온 것 같다.
![]() |
![]() |
잉크분사 방식을 통한 마킹기. 왼쪽은 레일을 통한 분사방식이고, 오른쪽은 휴대용 분사방식이다.
![]() |
![]() |
![]() |
지게차를 빼놓고선 물류를 논할 수 없다. 큰 규모만큼이나 큰 지게차들이 자신만의 자태를 뽐내고 있다. 유통산업의 빠른 발전만큼 지게차 또한 그에 적합하게 변화되는 모습을 실감할 수 있었으며, 물류창고의 특성에 따른 제품의 다양성을 엿볼수 있었다.
![]() |
![]() |
물류 창고의 전산화로 인해 과거엔 인력으로 이루어지던 시스템이 자동화를 통해 효율적으로 변화되었다. 레일을 통해 제품이 이동되고, 고유의 바코드를 통해 필요한 곳으로 제품을 분류하는 시스템이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물류 창고 앵글의 자동화 시스템은 모두 전산으로 컨트롤하며 무거운 제품도 기계를 활용하여 쉽게 이동 할 수 있다. (이미 많은 기업들이 도입한 시스템이다.)
![]() |
![]() |
![]() |
제품의 상품성을 유지하기 위해선 역시 포장만큼 중요한게 없다.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하기 위한 여러가지 포장기계들이 있었다. 개인적으론 우레탄을 이용한 제품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. 제가산우레탄의 부풀어 오르는 성질을 잘 이용한것 같다. 하지만 친환경이 트렌드인 요즘을 생각한다면 시간이 지나면 녹는 친환경 비닐을 사용한 제품이 좋을 것이다.
![]() |
![]() |
플라스틱 시트를 가열된 블리스터로 공간을 만들어 포장한 상태에서 제품을 볼 수 있게 하는 블리스터 포장. (마트에서 음식포장, 칫솔, 장난감 등 여러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)
20여년을 이어온 전시회인만큼 포장기술의 발전을 체험할 수 있었으며, 전시회의 규모만큼이나 큰 몸집의 물류기기들에 또 한번 놀랐다. 하루가 지나면 새로운 세상으로 안내해주는 21세기의 빠른 변화만큼이나 물류업의 변화 또한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. 포장 제품의 다양성 만큼이나 여러가지 포장기계들을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, 포장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마트 또한 이러한 포장기기와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나은 물류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.